본문 바로가기
Good 정보

소상공인 원금 탕감 새출발기금 신청대상

by 처음해봄 2022. 8. 30.
728x90
반응형

새출발기금 섬네일

금융위원회는 코로나로 인해 누적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잠재 부실에 대응을 위해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30조 규모로 조성하여 코로나 피해로 채무를 갚지 못하게 된 다수의 선량한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을 지원하여 원금, 이자감면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지나친 탕감이 도덕적 해이와 부실을 양산한다, 대출자가 열흘만 연체해도 채무조정 대상에 넣고 이자 감면의 혜택을 받으면 고의 연체를 유도할 수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의 부실이 우려된다 등의 의견이 많았던 바 새출발기금의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요약합니다.

 

1. 원금 감면 범위

①연체기간 90일 이상 : 순부채 80%까지 감면

②연체기간 90일 이상 : 원금 감면 90%(기초생활수급자, 중증장애인, 만 70세 이상의 고령자)

③연체기간 90일 이하 : 원금 탕감 없이 이자 조정 최저 3.7%~ 최고 4%

 

 

2. 원금감면 대상 제외

①연체 90일이상 : 담보채무는 원금 감면 대상 아님

②소득, 재산이 충분한 경우 

 

 

3. 이자

 

①연체 30~90일 경우 : 원금 조정 없이 단일 금리 적용

②상황기간 짧을수록 낮은 금리 적용  예) 상환기간 3년 이하→3% 후반, 3~5년→4% 중반, 5년 이상→4% 후반

③금리 상한선 9%

 

 

4. 신청대상

 코로나 피해 사실이 객관적 증빙 가능 차주(손실보전금 지원대상 업종 차주(재난지원금 또는 손실보상금 수령))

 

 1. 부실차주

      1개 이상의 대출에서 3개월 이상의 장기연체 발생

 

 2. 부실우려차주

  ① 폐업자, 6개월 이상 휴업자(폐업 및 휴업 신고자)

  ②만기연장이 어려운 차주(8.29현재) 또는 이자 유예 이용 중인 차주

  ③신용정보관리대상에 등재된 차주(국세, 지방세, 관세 체납)

  ④고의성 없이 상당기간 연체가 발생한 차주

 

 

 

  ⑤소상공인에 해당하는 법인 가능(매출액 10억(숙박, 음식업 등) ~120억(식료품, 음료, 제종업 등) 이하 상시근로자수 5인(광업, 제조업, 건설, 운수업 외) ~ 10인(광업, 제조, 건설, 운수업) 미만인 법인

  ⑥학습지 선생님 등 프리랜서나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라도 소상공인 기준에 충족하면 가능

  ⑦20년 4월 이후 코로나 피해로 폐업한 폐업자 가능

※ 도덕적 해 방지 등을 위해 세부 판단기준 비공개

 

 

5. 채무 조정 신청 횟수와 내용

고의적 반복적 채무 조정 신청 사례 제한을 위해 신청기간 중 1회만 신청 가능.

조정한도: 담보 10억, 무담보 5억으로 총 15억임.

 

 

6. 부실차주(90일 이상 연체)의 채무조정으로 인한 신용 불이익

  ①자력으로 갚을 수 있는 수준으로 대출원금, 대출 상환일정 조정

  ②보유재산가액을 넘는 순부채의 60~80%에 대해 원금 조정

  ③보유재산가액이 총부채를 넘을 경우 원금 조정 안됨

  ④감면율은 소득 대비 순부채 비중, 경제활동 가능 기간, 상환기간 등을 고려

  ⑤신용 페널티 : 장기연체 정보다 해제되는 대신 2년간 채무조정 프로그램 이용정보를 신용 정보원에 등록

  ⑥신규대출, 카드 등 이용, 발급 등 새로운 신용거래 불가

  ⑦2년 경과 시 공공정보 해제.

 

 

7. 부실우려차주의 채무조정으로 인한 신용 불이익

  ①원금 조정 안됨

  ②연체 30일 이전 : 기존 약정금리 그대로 유지, 9% 초과 고금리 사용자는 9%로 조정함

  ③연체 30일 이후 : 상환기간 내 단일 금리로 조정

  ④이자만 갚을 수 있는 거치기간 : 0~12개월(부당산 담보대출 0~36개월, 분할상환기간 1~10년(부동산 담보대출 1~20년)

  ⑤거치기간 중 1년 한도 내 이자 유예

  ⑥신용 페널티 : 공공정보 등록하지 않음, 신용하락으로 새로운 신용거래 제약

 

 

8. 신청

  ①22년 10월 이후 1년간 신청 접수 및 채무조정

  ②필요시 최대 3년간 운영 예정

진행사항
채무조정 진행사항

 

  ③인터넷 신청 : 새출발기금.kr(10월중 오픈 예정)

  ④현장 신청 : 서민금융 통합지원센터,

                      한국 자산관리공사 사무소(☎1588-3570 9월 중순 콜센터 운영전까지 상담)

                      신용복지위원회(☎1600-5500 9월 중순 콜센터 운영전까지 상담)

 

 

 

 

 

728x90
반응형

댓글